8/22/2009
인도네시아에서 물건 구입 후 결제시 노하우
현재 한국에서 원화를 루피아로 바꿀때 100루피아에 약 14.X원을 줘야 합니다. (인천공항 국민은행에서 원->Rp 환전시)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물건 구입시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게 되면 달러결제가 되는데, 예를 들어 100만 루피아를 결제하게 되면 대략 100달러 정도로 계산되어 SMS가 날라올겁니다.(해외로밍을 한 경우 바로 확인가능)
현재 약 1달러에 천이백원 얼마 정도 되는 환율이기 때문에 100달러면 12만 얼마에서 13만원 정도의 금액이지요.
반면 루피아를 가져간 환전해간 현금으로 결제하는 경우 백만루피아를 결제하려면 대략 한국돈 14만 얼마를 내야 하는 셈이 됩니다.
즉 신용카드로 결제하는게 1~2만원 정도 저렴하게 먹힌다는 사실.
다만 인도네시아 현지에서는 대형몰이나 혹은 금액이 어느정도 이상 되지 않으면 신용카드 결제를 받아주지 않고, 수카르노 하타 공항의 폴로매장 같은 경우에는 루피아 금액을 바로 신용카드로 결제해 주지 않고 루피아를 달러로 환율계산하여(금액이 더 올라갑니다) 그 달러금액만큼 신용카드로 결제를 합니다.
아무튼 신용카드를 쓸 수 있는 곳에서는 최대한 신용카드 결제를 하는게 남는다는 사실. 신용카드 결제시 10% 더해서 결제하는 곳이 있으니 꼭 확인하시길.
3/20/2008
카드로 200만원 세금내면 최대 3만원 수수료
남이 하면 불륜이고 내가 하면 로맨스라는 말이 있다. -_-;
용산/테크노마트 등의 전자상가를 비롯한 이른바 현금박치기를 하는 경우 싸게 해주고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수수료를 소비자에게 물리는 행위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정부에서 감시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막상 국세 납부시 신용카드를 이용하게 되면 납세자가 '납부대행수수료' 를 부담해야 된다고 한다. -_-;
근데 웃긴게, 내가 알기로는 국세를 신용카드르 결제한다고 해서 그게 연말정산시 환급이 되는것도 아니다.
세금은 환급대상에서 제외~
환급대상도 안되고 수수료도 최대 1.5% 를 더내야 된다는 내용을 알고서도 "납세 편의를 위해 카드로 국세를 납부하게 해달라고" 요청한 국민이 그렇게 많았을까?
아무튼
이런 꽁수를 써서, 결국은 자기들이 바로 받아먹는거면서 가운데 허수아비를 하나 세워둔다는 것인데... 그 대행기관 만들고 운영하고 임금 줄 돈은 결국 또 세금으로 나갈 돈 아닌가? 왜 이렇게 웃긴 짓을 하는건지 모르겠다.
출처 : http://www.edaily.co.kr/news/econo/newsRead.asp?sub_cd=DA24&newsid=01594086586345616&clkcode=00203&DirCode=0020306&curtype=read
[이데일리 김세형 김수미기자] 오는 10월부터 시행되는 국세 신용카드 납부 수수료율 상한선이 납부 세액의 1.5%로 정해졌다.
21일 기획재정부의 `국세기본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에 따르면, 납부대행 수수료는 국세청장이 납부대행기관의 운영경비 등을 감안해 승인토록 하되, 납부세액의 1000분의 15를 초과할 수 없도록 했다.
신용카드로 200만원의 세금을 내면 납세자는 최대 3만원을 납부대행수수료로 부담해야 한다.
오는 10월부터는 개인이 납부하는 소득세, 부가가치세, 종합부동산세, 관세, 특별소비세, 주세 등 국세는 200만원 한도내에서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다.
당초 납세 수수료의 사용자 부담을 놓고 여전법 위반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납세 편의를 위해 카드로 국세를 납부해 달라는 국민들의 요청을 기획재정부가 받아들여 납세자가 수수료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카드 국세 납부가 가능해졌다.
대신 이때 납부하는 수수료를 `납부대행수수료`로 간주하고, 대행기관을 선정해 용역료를 지불하는 형식으로 규정해 법적 논란을 없앴다.
한편, 국세납부를 대행할 납부대행기관의 범위는 금융결제원과 시설 및 업무수행능력 등을 감안해 국세청장이 지정키로 했다.
요즘 포스팅을 모두 medium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그냥 한번 써보기로 한 medium.com 에다가 죄다 최근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메인인 potatosoft.com 은 제가 대학때인가 사회 취업한지 얼마 안됐을때부터 유지해 온 도메인이고, 블로그 시스템은 그...
-
현재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이 평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토/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인가 운영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2011년 1월 1일부터 이게 바뀌어서 평일/주말 할 것 없이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됩니다...
-
아래 내용은 제가 올해 3월에 한국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로 이사하면서 만들었던 체크리스트를 약간 손 본 겁니다. 원래는 같이 옮겨오던 직장 동료들과 만들었던 까페에 올렸던 건데 대부분 이사를 완료한 관계로 까페를 폐쇄 예정이라 정보저장/공유를 위해 가...
-
오랜만에 포스팅하는 글이 영어 관련 쓸데없는 뻘글이라 좀 그렇지만, 페이스북에 적기 시작한 글이 너무 길어져서 블로그에 포스팅하기로 함. 미국에 2011년에 넘어왔으니까 올해로써 이제 미국생활 4년차 들어간다. 처음에 왔을때는 4년정도 여기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