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Textcub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Textcub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1/12/2011

텍스트큐브에서 블로거닷컴으로 이전하는 경우 바뀌는 부분

이전 글에 적었듯이 어제 저녁에 제  텍스트큐브 블로그가 블로거닷컴으로 이전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한 차이점 정리해봅니다.

1. 방명록의 부재
텍스트큐브에 있던 '방명록' 항목이 블로거닷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기존 '방명록' 내용은 '페이지' 의 하나로 추가되어 내용이 보관됩니다. 이 '페이지' 라는건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포스팅 외에 정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내용들, 예를 들자면 연락처라든지 본인 프로필 등, 을 10개까지 만들 수 있도록 블로거닷컴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유사한 기능이 없는 상태에서 방명록의 내용까지 보존해 주기 위해 애쓴 흔적이 보이고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만, 혹시라도 방명록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블로거닷컴으로의 이전은 좋은 선택이 아닐 것 같습니다.

하지만 보통 글쓰는 사람들은 특정 포스팅에 대한 의견을 적거나 가장 최근 글 밑에다가 안부를 묻는 글을 적는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을 듯 하네요.

2. mail2blogger 기능
블로거닷컴에는 mail2blogger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자신이 등록해 놓은 메일로 자신의 블로거닷컴의 특정 이메일 주소로 글을 보내면 그게 블로그에 곧바로 포스팅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본인의 블로거 아이디가(블로거닷컴의 블로그 주소 말고) chulsu.kim 이라면 이것과 비밀코드를 합쳐서(본인이 지정할 수 있습니다.) chulsu.kim.mail2blogger@blogger.com 이라는 mail2blogger 용 이메일 주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mail2blogger는 뭐든 자신이 하고싶은대로 바꿀 수 있고요.

이메일을 작성해서 수신자를 chulsu.kim.mail2blogger@blogger.com 로 보내면 그 글이 자신의 블로그에 포스팅되는데, 곧바로 포스팅되게 할 수도 있고/임시로 저장되게 할 수도 있는 옵션을 제공해줍니다. 사진을 첨부해서 보내는 경우 사진도 함께 포스팅됩니다. 포스팅은 해야겠는데 웹브라우저 사용도 애매하고 전용의 원격블로깅 툴을 사용하기도 애매한 경우 편리할 것 같네요.

3. 구글 서비스들과의 연동
네, 같은 회사제품이라고 아주아주~ 편리하게 연동할 수 있게 기능을 제공해 줍니다.
애드센스 설정하는 기능이 아예 블로거닷컴 안에 포함되어 있고, 블로그에 올린 사진들을 피카사 설정을 통해서 곧바로 웹앨범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습니다.

4. 카테고리 이용 불가
아무리 찾아봐도 레이블 달 수 있는(태그라고도 하는) 기능만 있고 카테고리(분류) 선택이 불가능합니다. 좀 답답하다는 느낌도 들고 제대로 분류할 수 없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약간만 편집증적인 자세를 버리면 테그만 잘 달아도 크게 문제는 없지 않나 싶기도 하고, 어쩌면 세상을 좀 더 편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네요.
이전 제 블로그를 보면 대부분의 포스팅이 '일상다반사' 항목이었고 그 외 항목은 한달에 글 한개 달릴까 말까한 상태였긴 합니다. -_-;

1/04/2011

블로그 이전합니다.

현재 제 사이트 도메인으로 쓰고 있는 potatosoft.com는 자체 호스팅/코로케이션/웹호스팅 등등 많은 과정을 거쳐 현재의 텍스트큐브닷컴을 통해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만, 아시다시피 금번 구글의 텍스트큐브->Blogger 통합으로 인해서 또 한번 이전을 해야 하게 생겼습니다.

 

기존과의 호환성을 생각하면 티스토리로 가거나 웹호스팅 신청해서 텍스트큐브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조만간 해외로 가는 걸 생각하면 고용량 이미지 떡칠되어 있는 국내 사이트보다는 텍큐에서 이전해준다는 Blogger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혹은 wordpress 서비스형을 사용하는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설치형도 고려중이구요.

 

아무튼 오늘 이전신청을 했으니 1월 10일쯤 이전이 될 것 같고, 도메인도 그대로 사용하게는 해두었는데 경우에 따라 몇시간에서 길게는 하루정도 potatosoft.com 으로 접속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듯 하네요.

 

최근 글이 하도 뜸하고 포스팅에도 열의가 없어서(라기보다는 페이스북질 하느라 -_-;) 그냥 이건 여기까지만 닫아두고 새 술은 새 푸대에 담아볼까 싶기도 하네요.

 

아무튼 그렇습니다. 네네~ ECTO에서 텍스트큐브닷컴으로 원격포스팅 안되는 것도 해결되지 않고 짜증났었는데 잘됐군요.

6/17/2009

ecto로 텍스트큐브닷컴에 원격포스팅을 할 수가 없군요

최근 맥 사용빈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회사에서는 거의 90% 이상, ) MS Live Writer대신에 블로그 글쓰기를 위해 ecto를 쓰고 있었습니다.

며칠전에 설치형 textcube에서 서비스형 textcube.com으로 블로그를 옮겼는데, 이때부터 ecto를 이용한 글쓰기가 전혀 안되는군요.
blogger/removabletype/metaweblog 어떤 걸 선택해도 글쓰기가 안됩니다.

그래서 요 며칠간 작성한 짧막한 글들은 텍스트큐브의 웹UI를 이용해서 쓰거나 Live Writer 를 이용해서 포스팅을 하고 있는데.. .줌 불편하군요.

혹시 이거 해결하신 분 있나요?

-P.S-
회사분이 ecto 2.x 대 버전의 등록번호를 혹시나 하고 주시길래 덜컥 넣었더니 등록이 되어버렸습니다. 아하하하 -_-;; 원래는 구매하려고 했던 건데..
근데 지금 시점에서 textcube.com 으로 포스팅을 할 수 없으니 구매하지 않은게 더 잘된건가 싶기도 하고...
설마 expire된 등록번호를 넣으면 원격 포스팅 기능이 정지된다던가 하는건 아니겠죠? -_-

7/21/2008

Google의 힘! + 사이트 방문자 분석

예전에 비해서 한동안 글을 꽤 열심히 썼었는데 이상하게도 최근에 블로그 방문자가 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글검색을 해보면 제 게시물들이 거의 검색되지 않는 해괴한 사태가 발생했었습니다.
사태를 살펴보던 중 네이버/Daum으로부터의 유입은 그대로인데 구글로부터의 유입이 갑자기 뚝 떨어졌다는 걸 알아차리게 된 거죠. 각종 게시물들과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보던 중 5월 정도에 서버호스팅을 하고 있는 스마일서브에서 해외/국내 트래픽을 분리시키면서 외국 검색엔진의 봇들을 죄다 차단해버렸다는 사실을 간파했고, 지난주쯤에 스마일서브에 연락을 해서 접속제한을 풀어달라고 했습니다.

google analytics 를 봐도 5월부터 크롤링이 뚝 떨어지고, webmasters/tools 를 봐도 분명히 존재하는 robots.txt 에 접속을 할 수 없다는 에러메세지 등이 나타났기에 접속제한이 걸려있다는 사실을 확신했습니다.

image


그리고 며칠이 지난 7월 17일부터 어제까지 특별한 내용의 포스팅이 있거나 했던 것도 아닌데 방문자수가 쭉~ 천명을 넘기고 있습니다.
물론 textcube 에서 잡히는 방문자의 숫자와 google analytics 나 daum webinside 에서 잡히는 방문자는 숫자상의 차이가 꽤 있습니다.

image

그렇다고는 해도 새로 달아본 애드센스나 기존에 있던 애드클릭스로부터의 광고클릭률이 높아진건 전혀 아니지만요 ㅜ.ㅜ

textcube 자체의 방문자수는 천명을 달리고 있는데 webinside 나 analytics 로 확인을 해보면 실제 일일 방문자 수는 100여명이 채 안됩니다. '방문자' 라는 것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마도 크롤링을 하는 각종 봇들, 특히나 늘 2개 이상씩 봇이 잡히는 무지막지한 ms 나 네이버의 봇 방문까지도 다 카운팅 하는 것이 textcube 쪽 집계인것 같고, 실제 웹브라우저 등으로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의 고유방문자를 집계하는 것이 webinside/alalytics 인것 같은데, 그렇다고 하기에는 10배가 넘게 차이가 나는 이 수치상의 차이를 어떻게 해석을 해야할지 모르겠군요.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면 댓글좀 달아주시고, 개인적으로도 집산방식에 대해서 좀 더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글을 적는김에 analytics 로 몇가지 정보를 더 확인해봤습니다.
살짝 놀랬던 것이 이 블로그가 완전히 개인잡기 + 독후감 기타등등을 올리는 블로그임에도 불구하고 은근히 자주 들러주시는 분들이 많다는 점이었습니다.

image

그리고 더욱 놀라운 것은 평균 사이트 방문시간인데, 제가 잘못본게 아니라면 최소한 제 블로그를 2분 이상 방문해주는 분들이 많다는 부분입니다. 설마 이게 2.35초는 아닐터이고... analytics 및 크롤링이 14일부터 다시 정상적으로 되기 시작해서 14일 이전 데이터는 없네요.

image


그 외의 방문자 통계를 살펴보면 94%가 웹브라우저로 IE를 사용하고 있고 5% 정도가 FF 를 쓰며, 0.18% 가 Safari 브라우저를 씁니다.
OS의 비율을 보면 Windows 사용자가 99.11%나 되고 맥이 0.7%, 리눅스가 0.18% 입니다. 32bit 색상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며 가로해상도 1024 이하의 사용자는 단 0.1% 도 없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가로해상도 1024, 세로해상도 768 이상을 쓰고 있네요. 플래시는 역시 광범위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 포인트가 많아서 그런지 9.0r115 나 9.0r124 버전이 96% 이상입니다. ( FMS3 도입해서 H.264로 스트리밍 해도 큰 문제는 없겠군 )


아무튼 이쯤에서 억지정리를 해보자면

1. 스마일서브나 기타 호스팅업체에서 해외/국내 트래픽 분리 및 과금을 한다면 해외검색봇(특히 구글)이 막히지 않았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2. 구글에 노출되는 것만으로 방문자는 10%나 늘어난다.

3. 블로그 스킨이나 웹사이트 만들때 1024 x 768 이하의 사용자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7/07/2008

텍스트큐브 글쓰기 문제 해결

얼마전부터 텍스트큐브에 직접 글쓰기가 되지 않고 Blog API 로만 포스팅이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혹시나 하고 텍스트큐브 사이트를 가봤더니 1.7.2 패치가 나왔더군요.
업데이트 한방 해주니 가뿐하게 문제가 해결 -_-

그런데 아무리 살펴봐도 글쓰기 기능에 문제가 될만한 버그 패치는 보이지가 않네요..

관리자 화면의 dashboard 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던 문제도 덩달아 해결이 되었습니다.(1.7은 원래 그런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_^;;)

TouchRing 관련 포스팅이 사라졌습니다

얼마전에 분명히 TouchRing 관련 포스팅을 작성한 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 보니 사라지고 없군요.

구글링을 해보면 믹시나 올블로그 등에 분명히 포스팅 되었던 기록은 있는데, 막상 눌러보면 얼마전에 적었던 iBATIS + MySQL의 삽질에 대한 게시물입니다.

어? -_- 그러고보니 아래쪽 첨부파일에 이미지가 있는데 이게 터치링 관련 이미지들이군요.


분명히 Windows Live Writer 로 작성해서 포스팅 한 후에 페이지의 HTML을 일부 직접 수정한 것 같은데...

그리고보니 텍스트큐브에서 글쓰기가 안되기 시작한 것도 그 쯤인것 같군요. -_-


너무 빨리 게시물이 업데이트되어서 iBATIS + MySQL 포스팅이 덮어버린( ? ) 터치링 관련 내용은 하나도 찾아볼 수가 없군요. 흑~

7/02/2008

텍스트큐브 글쓰기가 안되고 있습니다(Blog API로만 가능)

며칠전에 사용하고 있던 텍스트큐브를 최신버전(1.7.1) 으로 올리고 나서 글을 몇차레 적었었습니다.

(.htaccess 관련 공지사항에 나온 내용도 적용을 했구요)

그리고 어제인가 간만에 Windows Live Write 가 아닌 텍스트큐브에 로그인 해서 글을 쓰게 되었는데, 글 작성을 마친 후 '저장하기' 를 누르니 저장에 실패했다는 메세지가 나오면서 저장이 안되더군요.


기존에 작성했던 글을 수정해서 저장하거나 Blog API 를 이용해서 포스팅을 하면 정상적으로 되는데 글쓰기를 해서 저장만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텍스트큐브쪽 게시판을 봐도 이거다 싶은 내용도 없고 구글링을 해봐도 마찬가지네요.


할 수 없이 소스코드를 까보면서 원인파악을 해보아야 할 듯 합니다. -_-;;

혹시 유사증상으로 고생하신 분들 중 해결하신 분이 계시면 연락 좀 부탁드릴께요 ㅜ.ㅜ

4/09/2008

Textcube 용 Mixsh 추적버튼 사이드바 플러그인

역시 테터툴즈 쓰다가 텍스트큐브로 넘기면서 기존에 혼자 사용하던 믹시 사이드바 플러그인을 수정했습니다.

믹시 가입하고 발급받을 수 있는 추적버튼 스크립트 중

<a href="링크주소?url=xxxx">

부분의 url 값만 가져오셔서 플러그인 스크립트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스킨바꿀때마다 매번 스크립트 복사하기가 귀찮아 만들어봤습니다.


현재 믹시쪽 이미지가 서버부하때문인지 제때 가져와 지지 않을때가 있는데, 차라리 이미지는 믹시 홈페이지에 가서 다운로드 받은 후 플러그인에 포함시키는 게 좋을 것 같기도 하네요.

같은 문제로 인하여 믹시의 배너이미지가 로딩중일때 스킨의 사이드바에서 설정을 위하 드래그&드롭을 하려고 하면 제대로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좀 기다렸다 해보시기 바랍니다

버그발견하시면 알려주시구요.

Textcube용 43things.com 플러그인

방금전에 태터툴즈에서 텍스트큐브로 블로그시스템을 교체하면서 어쩔 수 없이 플러그인도 손을 봤습니다. -_-;

플러그인 만들기 연습용으로 만든거라 허접하지만 아무튼 이것도 같이 공개해봅니다.

사용을 위해서는 우선 43things.com 에 가입하여 id를 받으시고 api 사용신청을 하셔서 api key 를 받으셔야 합니다.



디자인 뭐 이런건 전혀 신경안썼으니 다운로드받으셔서 적절히 수정하시면 되겠네요.
(디자인 센스 있으신분은 공유좀 -_-;;)

Daum 웹인사이드 Textcube 용 플러그인

방금전에 태터툴즈에서 텍스트큐브로 블로그를 업데이트시켰습니다.

진행은 태터툴즈 관리자모드에서 데이터 백업 후 텍스트큐브를 설치하고 텍스트큐브로 데이터를 모두 마이그레이션한 다음, 기존 tt 를 옮기고 tc 를 tt 로 변환한 다음, config.php 와 URL rewrite 를 위한 .htaccess 를 수정했습니다.

업데이트하고 보니 다음웹인사이드 통계스크립트를 위한 텍스트큐브 플러그인이 보이질 않네요.

다행히 이전에 만들어두신 분이 꼼꼼하게 잘 만들어두셔서, index.xml 의 <requirement> 부분만 textcube 로 바꾸니 잘 되는군요.

혹시나 쓰시는 분이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DaumWebInside.tar.gz

Daum 웹인사이드 통계스크립트용 텍스트큐브 블러그인

요즘 포스팅을 모두 medium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그냥 한번 써보기로 한 medium.com 에다가 죄다 최근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메인인 potatosoft.com 은 제가 대학때인가 사회 취업한지 얼마 안됐을때부터 유지해 온 도메인이고, 블로그 시스템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