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해외로밍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해외로밍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5/26/2009

악~! 해외로밍 발신 17만원! - (2)

어제 작성했던 해외로밍 발신 17만원 관련 정리해 올립니다.

SKT사용자시면 tworld.co.kr가서 오른쪽 상단에 희미하게 보이는 “T로밍” 을 선택하고 들어갑니다.

화면 중간쯤에 자신의 휴대폰 번호랑 출국 국가를 선택하면 WCDMA자동로밍 설정방법/통화방법안내/요금 안내가 나옵니다.

이용요금으 SK텔링크/SK브로드밴드/데이콤/KT/온세텔레콤 이렇게 나누어서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사업자를 눌러보면 수신요금에만 조금씩 차이가 있고 인도네시아 현지 발신이나 인도네시아->해외(한국) 발신요금은 전부 동일합니다.

image

네..결국 로밍한 폰으로 인도네시아->한국으로 전화걸면 무조건 분당 3,000원 나옵니다. (VAT별도 –_-)

무려 초당 50원씩 부과하는군요. 즉 해외사업자를 설정하고 나가도 그건 한국->현지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때 적용되는 이야기고 현지->한국은 전혀 다른 이야기.

이번엔 알짤없이 뒤집어쓴 것 같습니다.

수신이야 뭐 분당 720원이면… 여전히 비싸긴 하지만 그래도 요금 벼락맞을 일은 없는데 발신이 문제죠. 분당 3천원에 부가세 별도니 3300원 나오겠군요.

역산해보니 출장기간 동안 매일 약 7~8분 정도 한국으로 통화를 한 것 같습니다. 대부분이 아내와 한 통화였긴 한데 회사일로 길게 통화한 것도 한두번 있는듯 싶고 그 결과는 로밍발신 17만원.


자, 이걸 줄이는 방법/회피하는 방법.. 찾아봤습니다. ( VoIP폰 등의 인터넷 전화 발신은 제외 )

1) SKT 에 “T로밍 상한 서비스” 라는게 있네요. 3/5/10만원 3가지가 있고 이 금액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발신 제한. 한도가 다하면 재설정이 가능하고 요금은 귀국 후 결제하는 후불형 서비스랍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blog.sktroaming.com/258 참고

2) 전화는 어쨌든 할 수 밖에 없다. 라고 한다면 각 해외전화 사업자들이 판매하는 국제전화 선불/후불카드를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 전화 걸 때 국가별 접속번호를 넣고 카드번호도 넣어야 하지만 요금 날벼락 맞는거에 비하면 이정도 불편함 쯤이야. SK텔링크쪽 홈페이지에서 국제전화 선불카드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image

네.. 분명히 “해외 80여개국에서 국내로 요금 걱정없이 저렴하게 통화하세요” 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럼 얼마나 저렴한지 요금을 살펴보면

image

해외->국내 발신시 인도네시아는 분당 649원이네요. 말레이시아는 목록에 없군요.


담에 나갈때는 T로밍 제한도 걸고 국제전화 선불 또는 후불카드 구입해서 나가야겠습니다. ㅠ.ㅠ (인터넷 전화도 개통할까 싶기도 한데 해외 얼마나 자주 나갈지도 모르니 이건 좀 오버)

악~! 해외로밍 발신 17만원!

네.. 5월초 연휴때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를 갔었고, 며칠전 일주일간 자카르타를 다녀왔습니다.

SKT자동로밍이고 SK텔링크가 해외사업자로 지정되어 있는데, 오늘 회사동료분이 며칠전 출장갔다 온 해외로밍 발신이 8만원 나왔다고 하길래 가볍게 비웃어주며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오늘까지의 제 통화요금(5월 1일 ~ 오늘)

image

사용료 22만원.. 어?

해외로밍 발신 17만원… 어?

-_-;;;


myLG070 매달 3천원~5천원 하는거 1년하면 3만6천~6만원 하는데 해외로밍 해봐야 얼마나 쓰겠냐라는 생각으로 막 썼다가 쪽박찼습니다.

전에는 자동로밍이 안되 나갈때마다 후진 노키아 폰을 임대해 나가서 그런지 “해외로밍이니 아껴야지” 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나갈때도 그냥 쓰던 폰 들고 나가서 쓰니까 좀 더 무절제해지는 성향이 있는 듯 하네요.


아무리 그래도 저렇게 많이 쓰진 않은 거 같은데 낌상으로는 코타에서 쓴게 한 3만원, 나머지 14만원 정도가 이번 출장가서 쓴 거란 소린데…

언뜻 기억해보니 한국관 갔을때 부장님이랑 이런저런 이야기 하느라 한 십여분 통화했고, 아내랑도 매일 5분 정도씩 통화한 것 같긴 하네요.(특히 힐튼 갔을때 자랑할려고 좀 길게 한듯…)

다행히 회사에서 해외출장중 업무로 인한 로밍요금 지원도 해준다고 들었으나, 오늘 오전에 이미 출장경비 정산서를 작성하여 제출해 버렸다는것 켁~


정리 : 다음에 나갈때는 인터넷 전화 개통시켜서 들고나가자.


라고 정리를 하려다가 그래도 너무 나왔다 싶어 한번 파고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우선 제가 특별히 국제전화 사업자를 선택하지 않고 전화를 했기 때문에(00700/002/…) 분명히 기본 국제전화 사업자가 지정되어 있을 거라 생각하고 찾아봤습니다.

기본적으로 SKT가입자는 SKTelink가 국제전화 사업자로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저는 SK브로드밴드로 되어 있네요.


아무튼 SK브로드밴드 들어가서 인도네시아 이용요금 검색해봤습니다. 1초당 17원 이런 –_- 완전 날강도네.

image


SK텔링크 사이트로 가봤습니다. 메뉴가 찾기 어렵던데 온라인 고객지원 > “요금 시뮬레이션 서비스”에서 요금을 조회해 볼 수 있었습니다.

SK텔링크의 경우 인도네시아에서 1초당 표준시간대 10원/할인시간대 9원 –_-; 5월에 방문했던 말레이시아쪽 요금도 거의 똑같습니다.

image

17.5 : 10 = 173,400 : x

x = 99,085원


이래도 좀 많긴 하지만 9만 9천원이면 될 걸 가지고 17만 3천원이나 나오게 하다니!!

곧바로 114 전화해서 언성을 높이려고 했으나 휴대폰 분실신고 외에는 ARS가 응대를 해주고, 요금제 등 문의는 평일 영업시간에 전화를 하라는군요.

분실신고쪽 연결해서 따질려다가 그 상담원은 또 무슨 죄가 있겠냐라는 생각에 내일 아침까지 일단 꾹 참습니다. ( 잠 잘 수 있을까? –_-;; )

요즘 포스팅을 모두 medium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그냥 한번 써보기로 한 medium.com 에다가 죄다 최근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메인인 potatosoft.com 은 제가 대학때인가 사회 취업한지 얼마 안됐을때부터 유지해 온 도메인이고, 블로그 시스템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