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gsm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gsm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6/06/2009

인도네시아에서 휴대폰 사용하기, 충전하기

방금 숙소 근처에 있는 electronic city를 다녀왔습니다. 숙소에서 간판이 보이지만 길이 너무 뺑뺑이고 공기도 안좋고 덥고 해서 역시나 실버버드를 불러서 갔습니다.


electronic city는 우리나라 전자랜드 비슷한 곳인데, 출장오면서 가져온 맥북프로에 SD카드 포트가 없어 디카로 찍은 사진들을 포스팅에 쓸 수가 없었던지라 카드 리더기를 사러 갔지요. 한국에서도 안 산 카드리더기이건만...


지난번 포스팅에도 언급했던 것 같은데, 현재 인도네시아의 휴대폰 결제시장은 선불이 거의 97%안팎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후불도 존재하긴 하지만 거의 안쓴다고 보시면 되구요.


돈을 먼저 충전시켜 놓고(이걸 top up 또는 recharge 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쓰는 형태인데, 이 금액을 다 쓰더라도 grace period 라는 것이 존재해서(남아공인가? 그런 곳에서는 이걸 air period 라고 하던가..? 뭐 그렇게 부르는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전화를 받을 수는 있습니다.


최근에 한국에서 3G단말을 구입해 보신 분들은 알고 계시겠지만 여기서도 단말기를 구입하고 나면 사용자를 네트워크상에 인식시켜 주는 SIM카드(한국에서 USIM이라 부르는) 를 사야 하고, 거기다가 충전을 시켜줘야 비로소 통화가 가능합니다.우리가 알고 있는 휴대폰 번호라는 것이 단말기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이 SIM카드 안에 저장되어 있고 주소록도 여기 저장시켜서 나중에 다른 휴대폰을 사거나 하더라도 이 SIM카드만 바꿔 꽃으면 같은 번호를 그대로 쓸 수 있고 주소록도 그대로 쓸 수 있지요.(한국도 3G폰이면 USIM카드에 주소록 저장 가능합니다)


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한국에서 가져온 제 휴대폰(WCDMA/GSM로밍 지원)의 USIM카드 슬롯과 이 SIM카드 슬롯의 크기도 딱 맞아서 혹시나 하고 꽃아봤는데 (GSM로밍이 된다는 건 GSM네트웤을 인식한다는 이야기이므로), 메뉴는 영어로 샥~ 바뀌었지만 "이 심카드는 해외 어쩌구저쩌구 인증 어쩌구저쩌구 입니다" 라는 에러가 나면서 사용할 수가 없더군요. 뭔가 소프트웨어적으로 막아 둔 것 같습니다.


아무튼 여길 와서 필요에 의해서 쿼드밴드 GSM폰을 구입했기 때문에 여기에 사용할 SIM카드를 사야 했습니다. 구입당시에 SIM카드가 하나 꽃혀 있긴 한데 그건 카드가 꽃혀 있어야 휴대폰의 기본적인 동작이 되기 때문에 꽃아둔 더미더군요.


One Pacific Place 의 LG휴대폰 매장에서 폰을 구입하고 바로 옆에 있는 매장에서 심파티(sim pati) 걸 샀습니다. 인도네시아 1위 GSM서비스 제공업체이자 가입자가 6천만명을 넘어가는 그 telkomsel 의 것이죠.


일단 껍데기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위에 적혀있는 081 318 613481 이 이 SIM카드의 휴대폰 번호이죠.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011, 010, 018 같은 이통사별 prefix가 있듯이 여기도 prefix 가 존재합니다. 단 Telkom Flexi 의 경우는 fiexed CDMA라고 해서 우리나라처럼 광역으로 휴대폰 번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특정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쓸 수 있습니다. 통화품질은 우수하지만 휴대폰 번호가 지역번호로 시작되는데, 이를테면 자카르타 지역이면 021로 시작하고 수라바야 지역이면 031로 시작하는 식입니다. 이 지역을 넘어가면 그 동네의 심카드를 사서 충전시켜야 하고.. 뭐 Combo라고 하는 걸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건 너무 자세하게 들어가야 되니 생략.


아래쪽을 자세히 보시면 Pulsa Rp 5,000이라고 되어 있는데 5,000 Rp의 크래딧이 들어있다는 말이고 이걸 폰에 집어넣고 등록시키면 한동안 전화를 받을 수도 있고 5,000Rp만큼 전화를 걸 수도 있습니다.

이런걸 SP(Starter Pack)라고 부르더군요.


좀 더 확대한 모습, 위에 적힌게 MDN이고 아래 적힌건 ICCID입니다. SIM카드도 스마트카드이기 때문에 이 ICCID가 존재합니다.


구입할 때 물어보니까 이 12자리의 긴~ 이 번호, 우리나라 같으면 절대 못외울 것 같은 이 번호도 나름대로 좋은 번호와 나쁜 번호가 있어서 그것에 따라 가격대가 틀리더군요.


제가 구입한 것은 10,000Rp짜리인데 번호가 좋은건 20,000Rp인가 50,000Rp더군요. 그번호가 그번호 같아서 전 그냥 젤 싼걸로 샀습니다. ㅋ


Harga Rp 10 ribu 는 ribu 가 1000이고 Harga가 price 이니 이 SP 가격이 10,000Rp라는 뜻이네요. 아래쪽에는 28,000Rp만큼의 가치가 있다는 것이고(스타터팩에 포함되는 이런저런 충전금액/무료사용금액 합산), 그 아래쪽에는 부가세가 이미 포함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저 SP안에는 SIM카드랑 설명서가 들어 있습니다.


구입한 LG GM200 모델, 1,300,000Rp 정도의 Quad-Band모델입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약 15만원 정도?


대략 이런식으로 생겼습니다. 저가형은 대부분 바 타입이고 가격이 올라가면 폴더/슬라이드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다르게 노키아를 굉장히 많이 쓰고 있고 소니에릭슨도 많이 보입니다. 모토롤라는 뭐 거의 안보이고 생각보다 블랙베리나 아이폰을 쓰는 사람들도 많더군요(부럽!!) 여기는 요즘 블랙베리 열풍인듯?


찾아본 모델 중에 가장 저렴한 쿼드밴드 모델!! 듀얼밴드만 되는 건 400,000Rp짜리도 있긴 했습니다만 지금 팀에서 해외출장 가시는 분들도 잦고 GSM폰 하나 전에 있던게 사라진 관계로 쿼드밴드 지원 모델를 샀네요.


GSM의 frequency 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신 분은 http://en.wikipedia.org/wiki/Quad_band 이곳으로 고고싱!

 


어째저째 해서 top up을 시키고 휴대폰을 사용하면 언젠가는 또 top up 을 시켜야 할 날이 올텐데요, 그럴때는 충전용 voucher 를 구입하면 됩니다.


이 바우처는 인도네시아 곳곳의 수많은 리셀러들이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상가에서도 팔고 길에서도 팔고 담배 파는 곳에서도 팔고 편의점에서도 팔고 -_-;


우리나라는 온통 이통사 대리점이 들어서서 휴대폰 팔고 가입자 모으고 하는데 인도네시아는 휴대폰 파는 가게는 그다지 많지 않고 대부분이 이 스타터 팩이나 충전용 바우처를 파는 가게들입니다.


간판 걸어놓고 이런식으로 영업하는 곳도 있지만 간판이고 뭐고 없이 그냥 가판대에서 파는 곳도 있습니다.


각 오퍼레이터별 바우처 가격표입니다. 아래쪽에 MENTARI/IM3라고 적힌 건 Indosat 바우처입니다.

같이 출장오신 분이 탑업한 50,000Rp짜리 telkomsel용 바우처입니다.

아래쪽에 simPATI를 충전한다고 되어 있군요.

뒤쪽을 보면 이 바우처의 시리얼 번호가 보이고 유효기간과 가격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충전하는 방법도 소개되어 있네요.


화면 가운데쯤 7478 9586 7253 8394 라고 적힌 부분은 원래 은박으로 가려져 있어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며, 바우처를 구입한 다음 저 부분을 긁어서 번호를 확인한 다음에 그걸 top up 시에 이용합니다.


아래 적혀 있는 충전방법을 보면

1. 홀로그램 영역을 긁어서 바우처 코드를 구하고

2. 888로 전화한 다음에 지시를 따르거나, "*133*바우처 코드#" 를 입력한 다음에 Yes/Ok(send 버튼)을 누르면 충전이 됩니다.


그 아래는 크래딧 잔액 확인하는 방법이 표시되어 있고, 이 바우처로 충전하면 유효기간 50일, 그리고 잔액을 모두 소진했을 때 30일간의 recharging 기간을 준다는 내용이 보입니다. 이 기간동안 전화를 걸 수는 없지만 전화를 받을 수는 있습니다.(grace period/air period)


이런 실물 바우처들 말고 electronic voucher 라고 해서, 우리나라의 사이버 머니같은걸로 충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딜러들이 오퍼레이터로부터 사이버머니를 잔뜩 사다가 그걸 사용자들에게 파는 형태입니다. 뒤로 가면 이래저래 설명이 더 복잡해 지므로 이만 -_-;

6/04/2009

인도네시아 Telkomsel 과 Telkom Flexi

인도네시아에는 Telkomsel 과 Telkom Flexi 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TELKOM이라는 회사가 있고 그 밑에 GSM 서비스를 하는 telkomsel과 CDMA서비스를 제공하는 Telkom Flexi 가 있는 식이죠.


Telkom Flexi는 우리나라 회사와 비교를 하자면 합병전의 KTF같은 느낌입니다. ( TELKOM은 KT같은 느낌? .. 그 안에 유선전화도 있고 인터넷 하는 곳도 있고 )

저도 여기 몇번 출장오기 전에는 전혀 몰랐고 인도네시아라고 하면 어딘가에 붙어 있는... 가끔 베트민턴으로 우리나라와 1/2위를 다투는 나라 정도로만 생각을 했는데,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인구수로 따지면 세계 4위인 나라입니다.(인구 약 2억5천만)


자체적으로 기름도 나고 열대지방이라서 다모작을 하고 커피도 나고 사탕수수 같은거 재배하기도 좋고 온통 바다로 둘러쌓여 있고.. -_- 주어진 천연자원 같은걸로만 따진다면 우리나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풍부한' 나라이지요.

다만 여느 열대지방의 사람들이 다 그렇듯이 전체적으로 좀 게으릅니다. 남중국해 근처의 다른 나라가 그러하듯 상권은 중국이 거의 장악하고 있는 듯 하구요.


각설하고, 아무튼 인구가 2억5천만이나 되는 나라의 1위 GSM서비스 업체인 telkomsel의 가입자는 6천만명입니다. telkom flexi 는 약 1천5백만명 정도...

국내 1위업체인 SKT가 50% 좀 넘는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데.. 대략 가입자가 2천2백만명 안팎으로 왔다갔다 하는 걸 감안하면 6천만명의 가입자를 가진 telkomsel, 그리고 천오백만명 가입자의 telkom flexi, telkomsel에 이어 약 3천5백만명 정도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Indosat, 참으로 매력적인 시장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게다가 요금 연체 걱정이 전혀 없는 선불기반 결제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지요. 후불과금도 하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만 거의 대부분이 top up(recharge)을 위해 사용되는 바우처 카드 기반의 선불카드 시스템입니다.


우리나라도 바우처 만들어서 선불기반으로 시스템 바꾸면 이용하는 사람들 많을듯 싶네요. 10만원이든 100만원이든 쓰는대로 후불과금시키지 마시고 -_-;;;;


-P.S-

인도네시아의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4,000Rp에서 한참 휘발유 가격이 비쌀때는 6,000Rp정도 까지 했습니다. 그래봐야 우리나라 기름값의 1/3 정도가 될까말까한 가격입니다만...


산유국인데 왜 기름값이 오르는지 궁금해 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 인도네시아는 산유국이지만 정제시설과 기술이 충분치 못해서 휘발유 같은 건 수입을 해서 씁니다. 그러니까 자기네 원유를 해외에 팔고 그 돈으로 외국에서 휘발유를 다시 사들여와서 쓰는 셈이지요. 국내 정유사들의 주요 휘발유 수출국 중의 하나가 인도네시아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석유 생산량은 매년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구가 많은건 좋은데.. 기름이 점점 안나면 자카르타의 이 수많은 자동차들과 오토바이들은 어떻게 될려는지 인도네시아 정부도 많이 답답하겠습니다.

6/02/2009

나를 움찔~ 하게 만드는 상황

인도네시아에서 맥북을 켰더니 다음과 같은 업데이트를 받을때 ...


그림 1.png

어라? 인터넷이 엄청 느리다고 글쓸려고 하니 무려 100kbps가 나와주시네 -_-;;;

또 아까처럼 거의 다 받아놓고 멈추기만 해봐라 ㅜ.ㅜ

여기와서 싫어진 것

1. 그림 많은 블로그

2. 네이버/다음 기타등등 화면늦게 뜨는 사이트들

3. "이메일 확인하세요"

4. 거의 쓸모없는 070 인터넷 전화들

여기와서 좋아진 것

1. 구글

2. 트위터

3. 맛있는 인도네시아산 커피들

4. prepaid SIM 카드 + GSM단말기(쿼드밴드 쵝오!)

10/07/2008

LG전자의 휴대폰 app 개발 지원사이트 developer.lgmobile.com

LG전자에서 휴대폰 개발자용 사이트를 오픈했습니다.

http://developer.lgmobile.com/ 에 가보시면 LG전자의 SDK 1.0을 이용한 LG 휴대폰용 JavaME (Midlet) 개발 가이드 및 문서, 그리고 Flash Light 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있습니다.
LG전자의 휴대폰 모델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있구요.

기존 Java ME / Java 개발자들이라면 LG SDK 1.0 for JavaME 를 통해서 즐거운 프로그래밍을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SDK 1.0에서 지원하는 Java API들입니다.( 생소한 것들이 많네요 -_-)

image 

문서를 쭉 살펴보다 보니 SDK 1.0에서 지원하는 단말기는 LGE MIDP 2.0 또는 MIDP 2.0 Multitasking VM (MVM) 을 지원하는 아래의 단말기 스킨만을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 KM386 ( or KM385 )
  • KM500
  • KP210
  • KS360
  • KU990 Viewty
  • KT520 (or KT525)
  • KF700 (or KF690)
  • KF750 (or KF755)

해당 모델들을 lgmobile.com 에서 검색해보니 죄다 GSM / 3G 이고 CDMA 모델은 하나도 없군요. OTL...
CDMA 단말 쓰는 나라의 개발자들은 어떻게 하라고.. 너무한거 아냐? 하면서 개발문서 아래쪽을 살펴보니

We will provide more emulator skins for new LG mobile phones with skin packages. You can easily update it automatically using automatic update feature supported by the LG SDK 1.0 for the Java™ ME Platform.

라는 문구가 있는걸로 봐서 CDMA 모델들도 skin package 자동 업데이트를 통해 조만간 지원을 해주긴 하겠군요.

SDK의 주요 기능중에 Serial Debugging 이라는 게 있던데, 내용을 살펴보면 휴대폰을 PC의 COM포트에 시리얼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로 연결해서 어플리케이션의 debug/trace 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실제 휴대폰과 SDK 사이에 input/output 을 보내고 받을 수가 있군요. 우왕국~

개발 IDE 로는 NetBeans 5.0 또는 그 이상의 버전을 지원하는데, 너무 그러지 말고 이클립스도 좀 지원해줬으면 합니다. 그리고 JDK는 무려 1.6 이상만 지원한다고 하니.. 이건 뭐 그렇다고 하니 아 예~ 할 수 밖에요.

아무튼 이렇게 SDK 1.0 으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Third Party Content Provider ( '갑' 또는 이통사적인 마인드가 풍기는 단어군요. Content Provider ... ) 가 LG전자에 제안하면 LG Business Proposal Team이 테스트를 해서 LG Mobile Developer Network / LG Mobile.com / 또는 LG단말기에 탑재하여 출시한답니다.

image

수익 share 라든지 기타 등등에 대한 내용이 아무것도 없는걸로 봐서 app store 같은 성격은 아닌 것 같고, '이통사 중심' 의 콘텐츠 판매 시장을 'LG전자' 중심으로 옮겨오려는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확실히 요즘 모바일OS 또는 플랫폼 등에 중심에는 이동통신사가 아닌 Nokia / Apple / Google 등 단말기 개발회사 또는 플랫폼 개발회사가 있다는 걸 생각해본다면 국내외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는 LG전자가 개발 SDK를 공개하고 사이트를 오픈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수순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2007년 기준으로 LG전자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7.2% 로써 8천50만대를 팔아치웠고 2008년 1분기에는 이미 소니에릭슨을 제치고 세계 4위, 3위까지도 가능한 상황이군요. ( 자료 http://markidea.net/487 )

해외시장은 어떻게든 그렇다 치고.. 문제는 국내의 이통사와의 협의일텐데, LG전자가 휴대폰을 출시하면서 게임을 비롯함 몇몇 유명한 app 들을 한 10개쯤 탑재하여 판매한다고 하면 휴대폰 구매자가 한동안 이통사의 시스템을 통해서 콘텐츠를 구입할 일은 없겠지요. ~.~ 어쩌면 LG전자에서 SDK 를 내놓으면서 CDMA 쪽 단말을 하나도 포함시키지 않은 것은 이러한 국내사정을 고려하여 SDK 를 이용하여 app 를 단말에 올리는 문제가 이통사와 협의될 때까지는 이미 개발은 다 되어 있는 CDMA 에뮬레이터 등을 릴리즈 하지 않겠다라는 것일지도요?

아무튼 이러한 LG전자의 노력이 좋은 성과를 거두어 몇 년 후에는 국내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LG SDK 개발자 컨퍼런스 등에 외국 개발자들이 잔뜩 참여하는 뿌듯한(?) 모습을 볼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요즘 포스팅을 모두 medium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그냥 한번 써보기로 한 medium.com 에다가 죄다 최근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메인인 potatosoft.com 은 제가 대학때인가 사회 취업한지 얼마 안됐을때부터 유지해 온 도메인이고, 블로그 시스템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