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피드버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피드버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11/05/2008

FeedBurner 가입 및 RSS 구독 주소 안내

월 10만원씩을 내고 서버호스팅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0만원어치 서버 활용을 못한다는 개인적인 판단이 있어(기껏해어 SVN/Hudson/Tomcat/apache 돌아가는 정도) 향후 tistory 로 블로그를 이전하고 서버호스팅을 멈출까 고민중입니다.

옮기게 되면 1차 고려대상인 티스토리의 경우 피드 통계를 제공해 주지 않는 반면 텍스트큐브에는 제공이 되기 때문에 사실 RSS 구독자 수를 알기 위해 피드버너를 굳이 달 필요가 없지만 향후의 만약을 대비해서 주소는 만들어 두었습니다.

혹시라도 피드버너의 RSS 주소를 이용하실 분들은 http://feeds.feedburner.com/Potatosoftcom 을 쓰시면 됩니다.


피드버너로 RSS 주소를 모두 바꾸어버리게 되면 기존 데이터를 피드버너가 캐싱해서 보여주는 경우 구독자 통계상의 구독자 숫자가 줄어들 가능성이 아주 농후하기 때문에 가입자 수를 중요한 관리요소의 하나로 보는 분들이라면 가급적 피드버너를 이용하지 않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대로 티스토리가 아닌 웹호스팅이나 서버호스팅을 이용하고 있는데 구독자가 너무 많아 네트워크 트래픽 추가요금을 내야 할 상황이라면 차라리 피드버너를 이용하는 것이 트래픽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image

방금 텍스트큐브의 피드 구독순위를 살펴본 것인데 10번째에 보이는 FeedBurner 피드 로봇이 보이는군요.

한RSS의 경우 http://www.potatosoft.com/tt/rss 로 구독하는 분이 6분이고 http://potatosoft.com/tt/rss 로 구독하는 분이 2분인데 -_-;; 이거 좀 합쳐서 보여줄 순 없나요 ㅋ

기존 rss 쪽으로 들어오는 분들도 슬쩍 피드버너로 넘겨비리기 위해서 아파치 .htaccess 도 조작해두고 -_-;;;

RewriteRule ^rss$ http://feeds.feedburner.com/Potatosoftcom [E=SURI:1,L]
RewriteRule ^rss/$ http://feeds.feedburner.com/Potatosoftcom

테스트 OK 한 다음 만족하고 있다가 막상 또 구독자가 수백명 수천명인 분들이 널려 있는 상황에서 구독자 수를 노출시키는 게 또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구독자 수가 많은 경우에는 '여기 유명하니까 너도 구독해' 라는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겠습니다만... -_- 뭐 그래도 일단 가용 트래픽의 1/5 도 못쓰고 있는 상황이니만큼 일단은 피드버너는 사용하지 말자라고 글쓰는 도중 결심을 하고 이 글 포스팅을 마치는대로 ReWriteRule 도 지우고 피드버너 주소로 바꾸었던 것들도 죄다 원복시켜야겠습니다.


결론 : 피드버너 주소 아직 쓰지마세요 -_-;;;

요즘 포스팅을 모두 medium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그냥 한번 써보기로 한 medium.com 에다가 죄다 최근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메인인 potatosoft.com 은 제가 대학때인가 사회 취업한지 얼마 안됐을때부터 유지해 온 도메인이고, 블로그 시스템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