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을 쓰거나 기타 등등 다른 것들을 이용해서 이클립스 WTP환경하에서 자바기반 웹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생성하는 빈이 너무 많거나 해서 서버가 올라가는 시간이 너무 길면 서버 스타트업이 중지되면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이 타임아웃이 45초로 되어 있는데, 스타트업 시간을 줄이면 좋겠지만 부득이하게 이보다 시간이 더 걸릴때는 타임아웃 시간을 늘려야겠죠.
그런데 이걸 어디서 바꾸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eclipse 에서 생성한 서버의 server.xml 이나 web.xml, context.xml 뭐 이딴거 다 까봐도 스타트업 타임아웃 설정에 대한 건 없죠. 이클립스에서 서버를 스타트 시켜 주기 때문에 서버의 스타트업 타임아웃은 이클립스 쪽에서 뭔가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방법은 의외로 간단한데, 이클립스의 server 에디터 창에서 해당 서버를 더블클릭하여 Overview 및 Modules 롤 보이게 한 다음 Overview쪽 항목들을 자세히 보면 “Timeouts” 이라는 게 보입니다. 이걸 열어보면 Start(in seconds) 라는 항목이 보이는데 요걸 수정해 주면 됩니다.
비스타 캡쳐도구로 그렸더니 엉망진창이지만 –_-; 이미 이클립스나 WTP에 익숙하신 분들이라면 쉽게 아실 수 있을겁니다.
요즘 바빠서 포스팅이 너무 뜸한지라 이런거라도 올려봅니다. –_-;;;;;;;;;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