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최근의 경우에는 새로 개설한 은행계좌(오픈한지 30일이 지나지 않은)에 수표로 입금을 하는 경우, 그것도 고액일 수록 곧바로 현금으로 찾아 쓸 수 없고 일정기간 동안 은행계좌에 pending 상태로 머물게 됩니다. 받은 돈은 꼽았는데 그 돈을 찾아 쓸 수는 없게 되는거죠.
예를 들어 $10,000을 수표로 입금을 하면 대략 일주일 이내에 절반정도의 금액은 fundable하게 되고, 나머지 절반은 그 다음주쯤에 fundable하게 됩니다. 이는 처음 계좌를 개설한 사람이 의도적인 용도로 수표를 발행해서 은행에 꼽은 다음, 은행에서 해당 수표의 금액을 회수하기 전에 돈을 찾아써버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인데요,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WellsFargo뿐만 아니라, Bank Of America, Citibank 모두 거의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을겁니다.
기간 및 fundable이 가능한 시점은 입금한 수표의 발행인이 누구인지, 은행계좌 소유자의 계좌 오픈 시점 및 그동안 받은 수표들중 제때 금액이 지불되지 않은(overdraft라든가) 수표가 얼마나 많았는지, 혹은 어디에서 입금을 했는지(은행지점에서 했는지 ATM으로 입금했는지 등등, ATM의 경우 요즘 최신기계들은 죄다 수표를 인식하지만 오래된 것들은 그렇지 않아 입금획인에 시간이 더 걸리는 경우가 있나봅니다)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미국에 도착한 다음, 급하게 social number신청하고 은행계좌 신청하고 일주일정도만에 곧바로 출근하게 되는 케이스의 경우(딱 저같은 경우), 월급으로 받은 paycheck이나 기타등등의 수표등을 ATM으로 입금해도 곧바로 돈으로 뽑아쓸 수가 없어서 자금줄에 압박을 받는 경우가 충분히 발생 가능하기 때문에 이 점을 조심해서 자금관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한국 씨티은행에서 발급받은 국제현금카드로 급한 생활비를 빼 쓰면 요긴하긴 하겠지만, 이것도 전에 말씀드렸던 대로 인출횟수 및 금액에 제한이 있고, 돈 찾을때 $20짜리 지폐로 주기 때문에 많은 금액을 뽑을 수도, 뽑는다 해다 상당히 난감하다는 거 -_-;; 알아두세요.
그리고 특히 이쪽 Irvine 이나 Orange County쪽은.. 네.. 생각보다 Citibank ATM이 별로 없고 Citibank 지점은 더더욱 안보입니다. 하긴 한국에서는 서울에서도 찾기 힘들고 지방에서는 씨가 마른게 씨티은행입니다만... 아무튼 여행이 아니라 주재원이나 장기간 근무하면서 한국<->미국 송금을 자주 하는 경우라면 여기서 씨티은행을 쉽게 이용하기 쉽지 않다는 것. 그리고 그 많고 많은 ATM중에 시티은행 ATM은 흔치 않다는 거. ( 돈은 찾을 수 있지만 기본국제현금카드 수수료 $1 외에 추가 수수료를 내야 하겠지요.)
Irvine이나 돌아다녀본 LA, Riverside 등만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WellsFargo/Bank Of America가 가장 지점/ATM이 많고, US Bank랑 Chase 가 드문드문 보이고, Citibank는 정말 가뭄에 콩나듯 드문드문 보입니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요즘 포스팅을 모두 medium쪽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쩌다보니 그냥 한번 써보기로 한 medium.com 에다가 죄다 최근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메인인 potatosoft.com 은 제가 대학때인가 사회 취업한지 얼마 안됐을때부터 유지해 온 도메인이고, 블로그 시스템은 그...
-
현재 경부고속도로 버스전용차선이 평일은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토/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인가 운영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2011년 1월 1일부터 이게 바뀌어서 평일/주말 할 것 없이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됩니다...
-
아래 내용은 제가 올해 3월에 한국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로 이사하면서 만들었던 체크리스트를 약간 손 본 겁니다. 원래는 같이 옮겨오던 직장 동료들과 만들었던 까페에 올렸던 건데 대부분 이사를 완료한 관계로 까페를 폐쇄 예정이라 정보저장/공유를 위해 가...
-
오랜만에 포스팅하는 글이 영어 관련 쓸데없는 뻘글이라 좀 그렇지만, 페이스북에 적기 시작한 글이 너무 길어져서 블로그에 포스팅하기로 함. 미국에 2011년에 넘어왔으니까 올해로써 이제 미국생활 4년차 들어간다. 처음에 왔을때는 4년정도 여기 있으...
댓글 없음:
댓글 쓰기